이규보(李奎報, 1168-1241)_면잠(面箴)
by zkvnclsh20 2008. 5. 9. 14:13
有愧于心, 汝必先色頳若朱. 泚滴如水. 對人莫擡, 斜回低避, 以心之爲. 迺移於爾, 凡百君子, 行義且儀. 能肆于中, 毋使汝愧. 이규보(李奎報, 1168-1241)_면잠(面箴)
얼굴마음에 부끄러움이 있으면 네가 반드시 먼저 빛깔이 새빨갛게 되고진땀이 물처럼 흐른다..사람과 마주해서 고개도 못 들고,비스듬히 돌려 숙여 피한다.마음이 하는 것은 네게로 옮겨간다..무릇 모든 군자들아! 의로움을 행하고 위의(威儀)를 지녀라.마음 속에 능히 거리낌이 없어너로 하여 부끄럼이 없게끔 하라.마음의 생각이 얼굴에 나타난다.그러니까 얼굴은 ‘얼’의 ‘꼴’, 마음의 창이다.표정(表情)이란 말도 정(情), 즉 마음 속 생각이 겉[表]으로 드러난 것을 말한다.생긴대로 논다는 말이 그래서 나왔다.마음 속 생각에 따라 표정도 이랬다 저랬다 한다.부끄러운 짓을 하면 얼굴이 붉어지고 식은땀이 흐른다. 고개를 잘 들지 못한다.상대의 눈빛을 마주 볼 수가 없다. 자랑스런 일을 하면 어깨가 펴지고, 눈빛을 맞출 그 누군가를 찾아 눈길이 왔다 갔다 한다. 중년 이후에는 얼굴에 책임을 지라는 말도 있다. 살아온 삶의 이력이 그 위에 고스란히 나타나기 때문이다.얼굴은 내 삶의 성적표다.부끄러움 없는 얼굴은 맑게 개인 하늘같다.먹구름이 몰려와 그 하늘을 찌푸리게 하지 않도록 마음의 창을 닦고 또 닦아야겠다
Just For You / Giovanni Marradi
貧女吟(빈녀음) 가난한 여자의 노래 - 許蘭雪軒(허난설헌)
2008.05.11
조선시대 만고色女, 於于同의 漢詩,絶句 扶與懷古 감상
扶安名妓, 女流文人, 李梅窓에관한 小考
月下獨酌 달 아래 홀로 술을 마시며
2008.04.10